아랍에미리트 1월 1일부터 세계최초 4.5일제 도입
금요일 오전 7시 30분~ 정오까지(월~금 근무)
코로나 19 팬데믹 위기 벗어나면서 사업과 관광 매력 강화 위해
이슬람권은 목금 or 금토가 휴일이었음
사우디아라비아는 2013년부터 금토 휴일 체제 적용

5

1
2터널스
Dec 8, 20214.5일은 좋은데 왜 오전 7시 30분.....ㅠ

1
쥴리앙
Dec 8, 2021@2터널스 더운 나라라 그런가여?
elly
Dec 8, 2021@쥴리앙 금요 대 예배가 1시 15분에 시작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어요
웅대감
Dec 8, 2021기름이 노동을 앞서는 국가라서?! 흠. 신호탄을 쏘네요 ㅎㅎ
elly
Dec 8, 2021@웅대감 다른 나라들은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두둥)
웅대감
Dec 8, 2021@elly 근데 왜 일주일은 7일 인거죠.
5:2 to 4:3 논쟁이 벌어지는건 7은 걍 두고 분배를 바꾸자는건데 ..
물론 문명사회가 건설된 토대에 7일 1주라는 약속이 아주 심부에 박혀있어 못 걷어내는거지만 갑자기 궁그미.

1
웅대감
Dec 9, 2021아무도 안궁금하고 제가 궁금해 했으니 좀 찾아보면 ..
일단 가장 권위를 인정받는 나무위키 "일주일"
장 서는 날을 기준으로 보다가 우연히 얻어걸렸단 주장
.. 처음의 "주일"은 장날의 간격에서 비롯됐을 것으로 학자들은 추정한다. 가령 일부 서아프리카 종족들은 4일, 이집트인들은 10일, 로마인들은 9일마다 장을 열었다. 그들은 그 기간을 일주일 삼아 생활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다가 일주일이 7일이 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지금의 일주일은 그중 하나가 아니라 몇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이루어진 결과일 수도 있다. 보름 상현 하현 그믐 등 달의 위상변화 간격이 대략 7일이라는 것,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이 7을 신성한 숫자로 생각했다는 것, 오래 전 인류가 하늘에 7개의 천체가 존재한다고 믿었다는 것, 유태교의 안식일 의식에서 영향받았다는 것 ..
7일 말고 다른 시도도 역사적으로 있었다는 사실 파편
.. 이후 프랑스 공화력 등 일주일을 7일로 두지 않고 바꾸려는 시도가 이따금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소련 역시 비슷한 시도가 있었던 듯. 세계력 역시 '아무 요일에도 속하지 않는 요일'을 만들었다는 면에서 8번째 요일을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