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창전골Jan 3300만 개의 이력서로 본 서류합격 핵심 키워드 - PM/PO편최근 3년간 원티드에서 서류 합격한 PM⋅PO가 이력서에 가장 많이 쓴 단어를 분석해, 그 중 TOP5를 뽑았습니다. 뽑아보니 PM/PO의 업무 프로세스와 일치했다고 합니다. 이력 ...23
곱창전골Oct 31, 2022디자이너가 귀찮을수록 사용자는 편해지니까노동은 어디로 사라지지 않아요 누가 짊어지냐의 문제죠우리가 귀찮고 어려울수록 사용자는 편해질 거예요은행에 가면 신분증만 내도 형광펜 표시해준 것만 작성해도 다 알아서 해주는데, ...youtu.be토스ㅣSimplicity 21 - 우리가 귀찮을수록 사용자는 더 편해지니까31211 comment
전태풍Oct 31, 2022이커머스 솔루션 서비스 분석혁신의숲 에서 이커머스솔루션을 분석한 리포트가 있어 공유 드립니다. 제가 최초로 기획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배웠던 전 회사도 있고, 개인적으로 존경하고 좋아하는 스타트업도 보이네요. ...lnkd.in이커머스 솔루션 서비스 분석 [series 2-2] 디지털상공인으로 살아남기3111 comment
전태풍Oct 25, 2022PM과 PO의 차이, 한 방에 짚고 넘어가기PM(Product Manager)과 PO(Product Owner), 현직자도 회사도 어딘가 모호하게 혼용하고 있는 이 두 직무... 저도 볼 때마다 헷갈렸는데, 이 참에 한번 ...11393 comments
전태풍Oct 24, 2022인스타그램 검색, 어떻게 바뀌면 좋을까?인스타그램 매일같이 쓰고있지만, 익숙해져서 그렇지 불편한 점이 왕왕 있죠검색이 진짜 불편했는데 공감가는 내용의 글이라 가져왔습니당기획 실무자 입장에서 개선 방안 써주신 것도 시 ...brunch.co.kr나는 왜 인스타그램 검색이 불편할까6132 comments
ellyJul 6, 2022프로덕트 매니저 여러분, '소비자의 요구사항 수집'을 그만두십시오초기 스타트업 대표님들에게도 도움이 될 부분이 많네요.yozm.wishket.com프로덕트 매니저 여러분, ‘소비자의 요구사항 수집’을 그만두십시오 | 요즘IT113 comments
ellyMar 15, 2022한국형 K-Product owner의 탄생론도대체 한국에서 말하는 프로덕트오너가 실제 실리콘밸리에서 프로덕트오너가 맞는지에 대한 의문이었다.brunch.co.kr한국형 K-Product owner의 탄생론22
숨Dec 4, 2021PO는 화면설계서를 안쓴다?애자일이라는 말이 모든 IT업계에서 화두가 되기 시작하던 시점, 국내에서는 2013년쯤으로 기억하는데..애자일조직에서 처음 PO라는 표현을 들었다.워킹그룹이나 스쿼드와 같이 애 ...73 comments
숨Dec 1, 2021PO, PM, 기획자 뭐가 다르냐는 질문 참 많이 받는데,,,사실 뭐 꼭 구분할 필요가 있을까하는 생각이 듭니다.(솔직히 PO는 애자일 조직에서 나온 말인데 이제 기획과 PM역할을 하는 사람들을 PO라고들 많이 부르는 거 같고)사실 따지 ...2
프로덕트오너로살기전태풍Oct 31, 2022조회수 0이커머스 솔루션 서비스 분석혁신의숲 에서 이커머스솔루션을 분석한 리포트가 있어 공유 드립니다. 제가 최초로 기획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배웠던 전 회사도 있고, 개인적으로 존경하고 좋아하는 스타트업도 보이네요.저는 마케터나 MD분들이 엄청 힘든 직군이라는 것을 압니다. (실제로 경험해 보니...)그래서 쇼핑몰, 커머스 사업을 하시는 분들의 역할은고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분석하고고객이 찾는 것을 따라가며 실행하는 것.. 이것도 중요하지만결국 본질은1. 어떻게하면 우리 상품에 대한 열망을 최대화 시킬 지,2. 상품을 만들고 난 뒤 고객이 따라오게 하려면 뭘 해야 할 지3. 대체할 수 없는 좋은 상품은 무엇일지세가지에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그래서 쇼핑몰솔루션은 마케터나 MD, 이해관계자들이 본질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에 의의가 있습니다. 누군가를 위해 서포트 해주고 병목을 해소해 주는 것이 적성에 맞는 저는 이런 솔루션들이 더 발전하기를 바랍니다.lnkd.in이커머스 솔루션 서비스 분석 [series 2-2] 디지털상공인으로 살아남기「이커머스 솔루션 서비스 분석, 디지털상공인으로 살아남기」 혁신의숲은 국민대 혁신기업연구센터와 함께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연구 분석 리포트'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리서치 리포트는 혁신의숲-국민대 혁신기업연구센터 공동리서치 두 번째 시리즈의 두 번째 리포트로 주제는 '이커머스 솔루션 서비스 분석'입니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디지털 상공인의 입장에서0 click프리랜서 프로덕트 매니저 김미수님의 동의를 받아 전문을 올립니다!misyukim.github.io기획PM 김미수(Misyu)안녕하세요.김미수입니다.0 click311맑은눈의IT광인Nov 11, 2022Writ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