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English
DownloadSignInSign Up
Click to apply the changed page
#주류학개론입문
엘스카
25 술취한 원숭이 가설
지금까지 10여개의 글을 통해서 '술취한 원숭이 가설(drunken monkey hypothesis)'과 그와 관련된 내용들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술취한 원숭이 가설은 UC 버클리 ...
👍👍🏼
9
🐒
6
5 comments
엘스카
24 탄수화물을 안먹는 것도 참 어려워요
향락적인 목적을 위해 수 세기 동안 인류가 사용해왔던 신경 흥분 물질의 대부분은 식물에서 기원했습니다. 예를 들어 니코틴, 카페인, 모르핀 그리고 기타 승분 흥분성 알칼로이드들이죠 ...
👍
4
🤯
3
🍞
4
4 comments
엘스카
23 술을 적당히 마시는 것은 참 어려워요
지금까지 소개해온 '술 취한 원숭이 가설'은 우리 인간이 알코올에 대해 보이는 반응이, 우리 영장류 선조에서 상속받은 형질에 기초한다는 가정에서 시작합니다. 우리의 진화적 선조들이 ...
😍
6
👍👍🏻👍🏼
9
🍷
2
🍾
2
5 comments
엘스카
22 술에 약한 한국인
이 전 글에서는 알콜분해효소인 ADH와 알데히드분해효소인 ALDH에 대해서 설명을 했습니다. 갑자기 왠 생물시간인가 하셨겠지만, 왜 나는 술이 약하지? 왜 나는 숙취가 심하지? 이 ...
😍
4
😵
4
👍
6
😮
1
10 comments
엘스카
21 ADH 그리고 ALDH
지금까지 수백만년동안의 포유류를 거쳐서 1만년전 인간에 이르기까지 진화적인 관점에서 이들이 알코올에 왜 긍정적인 생리학적인 기능을 갖게 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범 ...
👍
7
7 comments
엘스카
20 술은 정말 우리 몸에 좋을까?
우리 선조들은 맛있는 과일 식사를 할 때, 어쩔 수 없이 소량의 알코올도 함께 섭취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 알코올은 우리의 신경을 자극해 기분좋인 느낌을 들게 하고, 먹는 양도 ...
👍👍🏻
11
😋
5
😍
2
🍺
2
11 comments
엘스카
19 술을 마시면 왠지 음식이 땡긴다?
이전 글에서 우리 인간이 알코올에 대해서 기분좋게 반응하는 것은, 우리의 진화적 선조들이 알코올의 존재를 맛있는 과일, 즉 칼로리의 보상으로 간주했으며 진화과정을 통하여 이러한 선 ...
🔥
7
😍
6
👍
5
🥃
2
7 comments
엘스카
18 사람은 왜 알코올을 좋아할까?
자신이 살아가는 에너지의 대부분을 과일에서 얻는 동물들을 과식동물(frugivory)이라고 부릅니다. 이들은 과일과 함께 알코올도 섭취하고 때로는 취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별다 ...
👀
6
😍
5
👍
5
🍎
2
6 comments
엘스카
17 술취한 동물들
앞서 두 글에서 효모가 알코올을 만드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을 했습니다. 첫번째는 '알코올이 다른 세균의 번식을 막아서 과일의 부패를 낮춘다' 그리고 두번째는 '알코올이 다른 동물들 ...
🐈
7
👍
9
😍
5
🍺
2
🤗
1
9 comments
엘스카
16 우리 자연은 왜 알코올을 만들까? 두번째 이유.
이전 글에서 진화적인 관점을 통해서 과일은 왜 알코올을 만들어내는 효모를 가만히 두는지에 대해서, 알고보니 효모는 박테리아등 다른 경쟁자를 물리치기 위하여 알코올을 생성하고, 이는 ...
👍👍🏻
8
😍
5
2 comments
엘스카
15 우리 자연은 왜 알코올을 만들까? 첫번째 이유.
지금까지는 술이 만들어지는 원리, 즉 술은 어떻게해서 왜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글을 써보았습니다. 그런데 사실 우리는 더 근본적인 의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사실 평소에 이런 생각을 ...
👍
5
😍
3
🤩
3
💪
3
1
5 comments
엘스카
14 곰팡이가 만드는 술
단 것을 좋아하는 우리 초딩입맛 효모를 떠올려봅시다. 포도나 과일, 심지어 커피체리까지도 잘 익은 과일은 전부 좋아하는 녀석입니다. 단 것을 열심히 먹어치우며 알코올을 만드는 고마 ...
👍👍🏻👍🏼
7
😍
3
12 comments
엘스카
13 커피, 그리고 발효
와인 공부할 때 사용하는 아로마 키트가 있습니다. 와인에 대해서 나오는 온갖 향을 모아놓은 키트이죠. Le Nez du Vin(와인의 향)이라는 제품이 가장 유명한데요. 총 54개 ...
👍
4
☕
4
❌
2
🍷
2
6 comments
엘스카
12 맥주, 사케, 그리고 효모
지난 글에서 와인에 있어서 야생(wild, native) 효모와 배양(cultured, commercial) 효모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와인 외 다른 술에 대한 ...
👍
8
😍
3
😀
3
🍺
3
6 comments
엘스카
11 야생의 맛
와인의 맛을 가장 크게 좌우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당연히 포도의 숙성상태, 포도 품종, 재배 방식등 다양한 요인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발효는 지극히 과학적, 자연적인 프로세스이고 ...
👍
4
🙏
3
😍
1
🍷
2
🤩
2
4 comments
Join
엘스카
조회수 0
14 곰팡이가 만드는 술
단 것을 좋아하는 우리 초딩입맛 효모를 떠올려봅시다. 포도나 과일, 심지어 커피체리까지도 잘 익은 과일은 전부 좋아하는 녀석입니다. 단 것을 열심히 먹어치우며 알코올을 만드는 고마운 친구입니다. 지금까지 모든 글들이 이 효모의 고마움을 표현해보고자 쓴 글들이었죠.
그런데, 술은 과일로만 만들지 않습니다. 퇴근후 매일 저녁 생각나는 시원한 맥주는 보리로 만듭니다. 한식과 너무나 어울리는 막걸리는 쌀로 만듭니다. 소주나 보드카 등 하얗고 강한 술들은 주로 감자나 고구마로 만듭니다. 그런데 잘 생각해보면, 이런 재료들은 달지 않습니다. 물론 열심히 잘 씹으면(예를 들어 밥의 경우) 단맛이 나긴합니다. 하지만 과일의 단맛과는 비교도 안되죠. 밀가루나 전분가루를 생각해볼까요? 텁텁하고 별로 맛이 없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으로 아주 쩅쩅한 알코올을 뽑아낼 수 있습니다. 물론 알코올은 효모가 만들죠. 어떻게 효모에게 이런 별 맛 없는 녀석을 먹게 할 수 있을까요? 원리는 간단합니다. 달콤하게 만들면 됩니다. 보리를 달게 만들면 되고 쌀을 달게 만들면 됩니다. 그러면 효모는 과일과 동일하게 이를 아주 맛있게 먹고 술로 만들겁니다. 이번 글은 이렇게 별 맛 없는 곡류들을 맛있게 만드는 어떤 녀석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 녀석은 효모가 아닙니다. 곰팡이 입니다.
곡류는 일반적으로 다당류로 되어있습니다. 단당류가 3개 이상 결합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단당류라 하면 포도당이나 과당처럼 달콤한 당을 말합니다. 하지만 이 당들이 3개만 연결되어도 단맛을 잃어버립니다. 그렇기 때문에 효모에 의해서 발효되기 위해서는 다당류는 더 작은 단당류로 분해가 되어야 합니다. 다당류가 단당류로 변환되는 과정을 당화(saccharification)라고 부르는데, 일반적으로 산 또는 효소가 작용을 하여 고분자량의 탄수화물이 가수분해가 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러한 당화 효소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아밀라아제(amylase)입니다. 여러분은 수업시간에 들어본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말타아제(maltase)도 이 과정에 참여합니다. 아밀라아제는 일단 다당류를 단당류가 2개 붙어 있는 이당류로 분해하고 말타아제가 이를 단당류로 분해합니다. 근데 아무래도 더 유명한 것은 아밀라아제이므로, 이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진행해보겠습니다.
거의 모든 동식물들은 아밀라아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식물의 경우 광합성을 통해 잎에서 녹말, 즉 다당류를 생성합니다. 이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려면 식물도 이를 아밀라아제를 통해 분해해야합니다. 특히 이 과정은 열매를 맺을 때 가장 중요합니다. 과일의 단맛은 사실 잎에 있는 녹말이 분해된 형태입니다. 포도알을 맺으려면 포도잎에서부터 만들어진 녹말이 이동하여 단당류로 분해되고 이 성분이 포도알 안에 차게 되는 것입니다. 모든 과일이 이렇죠.
보리의 경우는 곡류 그 자체는 다당류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런데 발아, 즉 새싹이 나올 때는 아밀라아제 효소가 분비됩니다. 이 효소는 보리 배젖에 가득 차 있는 녹말을 분해해서 배아 및 초기 생장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보리가 딱 발아되는 순간까지 기다렸다가 이를 건조하고 발효시켜서 맥주를 만듭니다. 그리고 위스키를 만듭니다. 맥아의 경우는 매우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고, 곡류로 만든 술 중에 맥주는 우리 인류가 가장 오래 전부터 마셔온 술입니다. 고고학적 증거로는 서기 9500년까지 내려갑니다. 우리 인류가 농경을 시작한 시대하고도 별로 차이가 안닙니다.
사실 대부분의 곡류들이 발아 시기에 아밀라아제가 분배됩니다. 하지만 그 정도가 차이가 커서 쌀같은 다른 곡류의 경우에는 그 자체만으로는 제대로된 술을 만들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를 효모가 제대로 작용할만큼 달콤하게 만들려면 다른 녀석이 필요한데,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와 라이조푸스(Rhizopus) 등의 곰팡이균이 주로 이 역할을 합니다. 그 중에서 아스퍼질러스가 특히 중요한데, 이를 특별히 누룩곰팡이라고도 부릅니다. 한자어로는 국균(麴菌)이라고 부릅니다. 이 곰팡이들은 여러가지 효소들을 분비하는데, 아밀라아제, 말티아제, 셀룰라아제등 다양한 종류의 당화효소를 분비합니다. 그리고 유기산도 생성하고, 단백질분해효소도 분비합니다. 따라서 양조 뿐 아니라 간장, 된장, 고추장등 온갖 종류의 발효식품을 만들때 사용되는 매우 유용한 곰팡이입니다.
따라서 술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 곰팡이를 배양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러 곡류를 이용할 수 있지만 현대에서는 밀을 주로 이용합니다. 밀을 물에 적셔 볏집등에 놓고 따뜻하게 유지하면 볏집에 있는, 혹은 공기중에 떠도는 곰팡이들이 모여들어 번식을 하게 됩니다. 이를 누룩이라고 하죠. 사케의 경우는 코지(koji)라고 부릅니다. 지역별로 그리고 가문별로 세세한 차이가 있습니다. 사실 이 차이가 그 가문에서 내려오는 술의 맛의 큰 부분을 결정하죠. 현대에 와서 이러한 가문의 기법들이 많이 사라져 전통주들의 맛이 많이 획일화 되었는데요ㅠㅜ 그래도 최근에는 문서등을 통해서 다시 복원을 하려는 시도가 많아져서 참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세세한 차이를 만드는 이유는 이 곰팡이의 종류가 매우 많기(적어도 50종) 때문입니다. 색깔만 하더라도 노란색, 검은색, 빨간색, 하얀색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어떤 곰팡이가 우세하냐에 따라서 황국균, 흑군균, 홍군균, 백군균등으로 불립니다. 어느 곡류를 이용하느냐(밀, 쌀, 녹두등), 어느 계절에 어느 온도에서 만드느냐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종류의 곰팡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곰팡이는 앞서 말했다 싶이 당화효소 뿐 아니라 단백질분해효소등도 분비하고 유가산도 만들기 때문에, 이로인한 여러가지 부산물들이 술의 맛을 크게 좌우하게 됩니다.
누룩을 만들어 두면, 제일 먼저 젖산균이 자라고 다음에 효모가 번식합니다. 그리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온도가 올라가면 효모는 번식을 중단하고, 최후에 곰팡이가 자라게 됩니다. 따라서 누룩 안에는 발효에 필요한 성분들이 전부 모여있게 되죠. 이제 쌀등의 술의 원재료를 한번 찌고(이래햐지 발효가 빨리 됩니다) 누룩을 잘 섞어 놓으면 당화과정과 발효과정이 동시에 진행됩니다. 과실주의 경우는 발효과정만 일어나는 반면, 이러한 곡주는 두 과정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죠. 그래서 좀 더 만들기가 어렵습니다. 너무 당이 많아도 적어도 안되기 때문에 재료의 양을 정확히 맞춰야 하구요, 특히 온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적정 온도를 계속 맞춰줘야 합니다. 예로부터 술을 빚는 분들을 장인이라 칭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그런데 혹시 이런 궁금증을 가진 적은 없으신지요? 막걸리나 사케같은 곡류주는 왜 아시아에서만 만들까요? 서양에서는 이러한 술을 왜 안만들었을까요? 이유는 환경에 있습니다. 고온다습한 아시아에서는 이러한 곰팡이들이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입니다. 반면 유럽같은 경우는 건조한 기후이기 때문에 아스퍼질러스균이 잘 번식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고온다습한 아시아에서는 조, 기장, 쌀 등의 곡류가 더 잘 자란다는 차이도 있죠. 보리의 경우는 유럽에서 더 잘자라는 곡류입니다. 포도 등의 과일도 유럽 기후에 더 적당합니다. 이러한 환경의 차이 때문에 (당연하지만) 술 종류의 차이가 만들어졌죠.
동물 몸안에도 아밀라아제와 말티아제가 풍부합니다. 특히 곡류를 섭취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동물들은 섭취한 다당류를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몸안에서 단당류로 바꾸어야 하기 때문에 입에서부터 소화기관 곳곳에서 이러한 효소를 분비합니다. 밥을 입안에서 계속 씹으면 단맛이 나는 것도, 입안에서 침 속에 포함되어 있는 아밀라아제가 밥을 단당으로 분해하기 때문이죠. 이터널스에서 동석 형님께서 입으로 직접 씹어서 술을 만드시는 장면이 나온다고 하는데요(저는 아직 못봐서ㅠㅜ 브래드님 감사합니다), 사실 이러한 방식의 술 제조법은 과거에도 사용되었습니다. 가장 유명한 것은 잉카 제국에서 신성한 술로 여겨졌던 '치차'가 있습니다. 신 잉카를 모시기를 모시기 위해서 전국에서 엄선되어 쿠스코에 모인 젊은 여성들을 아크라라고 불렀습니다. 그녀들은 집단생활을 하고 술 양조, 실잣기 등의 일을 헀는데요, '치차'는 그녀들이 옥수수를 씹고 뱉은 타액으로 발효시킨 술입니다(잉카 제국의 주 곡물은 옥수수였습니다). 제사를 올릴 때는 치차가 봉헌되며 큰 역할을 담당했었죠. 잉카제국이 멸망당한 후에도 치차는 꾸준히 남아메리카 문명의 한 문화로 남아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치차는 옥수수를 타액으로 당화시키는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만들지 않고, 발아시킨 옥수수 자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양조됩니다.
구대륙과 문명의 교류가 없을 때도 자체적으로 이러한 당화방법을 사용한 것을 보면, 술은 정말 온 인류의 문화의 일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7
😍
3
    브래드
    Dec 3, 2021
    입으로 씹어서.... 진짜 있는 거였다뇨 😭. 그건 그렇고, 맥아에 아밀라아제 성분이 들어있는거였군요. 그래서 그냥 보리가 아니라 맥아로 맥주를 만드는.....! 단편적인 지식들이 뭔가 연결되는 느낌이네요. 좋은글 감사드립니다!
    브래드
    Dec 3, 2021
    요즘 학교에서는 아밀라아제 대신 "아밀레이스" 라고 배운다고 하네요. 세대를 나누는 기준이라고 합니다
    👍🏻👍🏼
    2
    엘스카
    Dec 3, 2021
    @브래드 오 역시 전 라떼세대로군요ㅠㅜ 감사합니다^^
    2터널스
    Dec 3, 2021
    항상 재밌는 글 감사합니다~!
    엘스카
    Dec 3, 2021
    @2터널스 항상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과일의 단맛은 사실 잎에 있는 녹말이 분해된 형태라니.. 서양에서 발달한 술이 아시아와 다른 이유가 기후 때문이었다니 뭔가 퍼즐이 맞춰지는 느낌입니다. 와... 이런 것은 어떻게 알게 되셨어요?
    엘스카
    Dec 3, 2021
    @elly 그냥 술을 좋아하다보니... 어떻게 이렇게되었네요...ㅋ
    @엘스카 진짜 대단하세요!
    앤드류
    Dec 3, 2021
    입으로 씹어서, 우웩~ 현대에 태어나서 다행입니다. 근데 실례지만 뭐하시는 분이세요? 어떻게 이렇게 깊이 있게 술을 아시요?
    엘스카
    Dec 3, 2021
    @앤드류 술 좋아하는 평범한 배나온 애아빠입니다ㅋ
    쥴리앙
    Dec 3, 2021
    슨상님 저도 술을 좋아하고 싶어요. 술만 먹으면 얼굴이 너무 빨개지고 숨도 가쁘고 숙취도 심하고 너무 힘들어요. 왜 저는 이런 것인지 해결법은 없는지 정말 궁금합니다! (아실것만 같아서)
    엘스카
    Dec 3, 2021
    @쥴리앙 몸에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효소가 적어서 그런듯합니다. 사실 태어나신 몸을 어떻게 할 수는 없지만ㅠㅜ 꼭 술을 마셔야 할때에는 약국에서 판매하는 숙취보조제(RUxx등 여러 종류있어요)를 드시고 술을 드시면 한결 나을 거에요. 이런 효소를 보충해주는 약들이거든요. 그리고 좋은 소식은 우리 몸은 술에 대한 내성이 있어요. 조금씩 접하다보시면 몸이 조금씩 적응을 해요. 보통 술이 는다고 하죠.. 갑자기 막 술고래가 되진 않지만 그래도 조금씩 늘리다보면 언젠가는 즐길 수도 있을때가 오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